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신기술

MVP? Most Valuable Player(최우수 선수)가 아니다!

by 호·동 2022. 7. 12.

여러분들은 MVP 하면 어떤게 떠오르시나요?? 

 

대부분 MVP 플레이어! 축구, 야구 등의 일정 기간 진행된 운동 경기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최우수 선수. Most Valuable Player가 생각 나실겁니다. 

 

스타트업에서 근무 하시다보면 이런 말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MVP로 시작 해보자"

"MVP버전 개발을 완료 하였으며..."

"사업 아이템의 MVP버전을 보유한 기업"  등 MVP는 스타트업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그러면 여기에서 MVP는 어떤 뜻일까요? 

 

스타트업에서 사용되는 MVP의 뜻은 바로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입니다.   

 

최소 기능 제품은 말 그대로 최소한의 기능, 고객이 사용해보고 스타트업의 아이디어에 피드백을 줄 수 있을 정도의 기능을 담은 제품을 말합니다. 

 

MVP의 장점은 빠른 실험과 시장 반응 확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데 있습니다. 

단, 빠른 속도에 편향적으로 작용해 제품을 날림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업의 핵심 가설을 시험 가능한 정도로 개발하여 빠르게 실행하고,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를 통해 초기 MVP 제품과 실제 출시 제품과의 괴리가 있을수 있으며 사업 아이템의 실패 확률을 줄이고 시장 환경과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얻을 수 있습니다. 

 


MVP버전을 이용하여 짧은 기간동안 제품을 만들고 성과를 측정한 후에 다음 제품 개선에 반영하고, 다시 MVP버전을 만들어 개선하고 반영하는 것을 반복해 사업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린 스타트업(Lean Startup)방식'이 있습니다.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은 2011년 미국 실리콘밸리의 기업가 에릭 리스가 쓴 [린 스타트업(The Lean Startup)]이 출간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한 단어입니다. 

 

린스타트업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제품화 시킨 후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제품을 빠르게 개선해 나가는 경영 방법론을 의미하며 아이디어를 완벽한 제품으로 구현한 후 출시하여 고객 검증을 받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제품화 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사용자와 시장이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나가는 전략 입니다. 

 

일단 빠르게 제품을 만들고 출시해 시장의 반응을 보고 필요한 요청 사항을 반영하고, 반응이 좋지 않거나 필요 없는 기능은 제외 하는 등의 피드백 반영 이후에 다음 버전을 출시하며 사업의 성공 확률을 높여 나가며 실패 확률을 낮추기 위한 전략중 하나 입니다. 

 

요즘처럼 사용자와 시장 / 기술의 흐름이 빠르고 예측하기 어려운 때에는 린스타트업 방식을 활용한 스타트업들이 생존 확률도 높고 성공 확률이 높아 국내외 많은 스타트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전략 입니다. 

 

 

반응형